IT Governance

[IT Governance 프로젝트] IT Governance 프로세스의 적용 #2

지호랑 지웅이 2009. 2. 16. 16:22

지난 글에 프로세스의 적용에 대한 언급을 했던 적이 있다.

 

그 글에서 설정한 원칙은 다음의 세 가지 원칙이며, 12가지의 업무 프로세스를 나열하였다.

 

원칙 1. 고객사의 업무 프로세스 중 가장 잘 수행되고 있는 것을 선택하자.

원칙 2. 명확한 책임 소재의 분기를 만들자.

원칙 3.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라.

 

그러면 업무 프로세스의 나열을 해보고, 한번 근접한 업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

  1. 서비스 요청 관리
  2. 프로젝트 관리
  3. 외주 업체 관리
  4. 보안 관리
  5. 품질 관리
  6. 위험 및 이슈 관리
  7. 아키텍처 관리
  8. 투자 관리
  9. 사업 관리
  10. 인력 관리
  11. 자산 관리
  12. 계약 관리

 

이제 업무 프로세스의 선정에 대한 이야기와 프로세스의 적용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하자 ...

====================================================================================================================

 

우선 IT 부서가 운영되고 있는 회사는 당연히 현업 고객이 존재한다. 또한 그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서 외부 고객 및 기관 고객 등 다양한 계층의 고객이 있을 수 있다.

 

우선 은행을 예로 들어보자.

은행의 고객은 현업 고객, 대민 고객(인터넷 뱅킹 등), 외부 연계 고객(방카슈랑스, 자통법에 근거한 외부 기관/타 금융기관), 공공 고객(금결원, 금감원, 한국 은행 등), 그리고 마지막으로 IT 부서 자체 고객이 있을 것이다.

 

벌써 5계층의 고객이 발생을 했다.

그렇다면 금융기관(여기서는 은행을 의미한다.)에서 가장 집중해야 할 고객의 계층은 어디인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IT 부서가 직접적으로 대민 고객을 상대할 일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이유는 이미 현업의 부서 중에는 대민 고객을 상대하고 있는 부서가 존재할 것이며, 또한 Call Center나 기타 대민 고객의 전담 IT 부서가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역시 내부 현업 고객이 IT에 있어서는 가장 집중해야 할 고객으로 꼽을 수 있을 듯 하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이니, 다른 생각이 있을 수도 있으나, IT Governance의 접근에서 본다면, 역시 현업이 가장 중요한 고객이라 꼽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렇다면 IT의 서비스는 현업에 focusing되는 것이 가장 비즈니스에 근접한 서비스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위의 12가지 업무 프로세스 중 현업이 차지 하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 또한 가장 잘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골라서 진행을 해야 IT Governance의 입장에서 보면, 보다 체계적인 내재화가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분류하면, 아마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회사에서 수행해야 하는 IT Governance에 근접한 프로세스의 선정이 가능할 것이다.

 

 프로세스

설계 원칙1

설계 원칙2

설계 원칙3

이해관계자

중요도 

IT 주요 업무 

핵심 지표 

 비고

 서비스 요청 관리

 1

현업.

BRM.

IT 담당 부서

 현업에 대한 IT 서비스 제공의 요청 관리. 진척 관리.

1. 납기준수.

2. 오류해결

3. 수행시간

4. 고객만족도

5. 요청 처리 정확도

 
 프로젝트 관리

 3

PMO.

프로젝트 수행 부서

 

 현업의 요청 또는 IT 발의 정보화 사업에 대한 관리. 진척 관리.

계약 관리,

사업 관리,

인력 관리,

자산 관리,

계약 관리 프로세스 연계

1. 납기준수

2. 고객 만족도

3. 품질지수

4. 산출물 품질 지수

5. 인수이관 처리

 
 외주업체 관리

 3

 1

IT 부서

(계약 업체 담당 업무 부서)

 

 IT 업무 중 아웃소싱 영역의 업무에 대한 각 부서별 관리

1. 서비스 만족도

2. 품질

3. 납기

 
 보안관리

 2

전 부서 

上 

 전산 보안(일상 감사나 일상 보안 업무 중) 업무

1. 프로세스 준수율

2. 규정 준수.

 
 품질관리

 2

 1

PMO.

IT 기획.

IT 전략

 

 IT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품질관리.

IT 서비스 모든 프로세스 연계

1. 프로세스 준수율

2. 표준 준수율3.품질 지수 

 
 위험 및 이슈 관리

 3

 1

PMO.

해당 이슈 또는 위험 관련 부서

 

 발생한 이슈 및 위험에 관련한 해결 및 완화 업무

1. 납기 준수율

2. 해결율

 
 아키텍처 관리

 3

 2

IT 기획.

IT 전략

 

 현행 아키텍처에 대한 관리 및 To-Be 아키텍처의 수립.

전사 전파

1. 프로세스 준수율

2. 아키텍처 활용율

 
 투자관리

 3

현업 부서.

BRM.

임원실.

담당 IT 부서

 

 현업과 합의한 IT 서비스 제공의 품질 향상을 위한 IT 투자 관리

1. 투자 프로세스 준수율

2. 투자 위원회 처리 준수율

 
 사업관리

 1

 3

CIO.

담당 IT 부서

 

 예산의 설정에서 시작하여 IT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업 계획의 수립, 선정, 실행까지 일련의 연계 프로세스 관리 

1. Screening

2. ROI

3. 우선순위

4. 사업계획 프로세스 준수율

 
 인력관리

전 부서

 

IT 인력 관리.

1. 인력 가동율

2. 인력 요청 프로세스 준수율

 
 자산관리

 1

담당 IT 부서.

IT 기획.

 

IT 자산 관리 업무

1. 자산 등록 프로세스 준수율.

2. 프로젝트  output 인수 이관 프로세스 준수율

 
 계약관리

 3

 1

담당 IT 부서.

IT 기획.

PMO

 

 정보화 사업 및 외주업체 관리 등 IT에서 계약하는 모든 업무 처리

1. 계약 프로세스 준수율

2, 계약업체 품질 정보 활용율

 

 

 

 위의 표는 한번 작성을 해 본 것이다.

따라서 원칙의 우선순위나 KPI 등은 참고할 필요는 없다.

단지 위와 같이 여러가지 요소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IT Governance로의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의 선정, 업무의 선정을 하도록 해야한다는 것이다.

무작정 컨설턴트나 컨설팅의 결과를 옮기는 행위가 아니라 위와 같이 만든 문서의 내용을 지표화, 지수화 하여 처리를 하면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IT Governance 프로세스의 조직내 내재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개인적으로 IT Governane의 프로세스를 선정하라면,

 

1순위 : 서비스 요청 관리, 프로젝트 관리, 사업계획 관리

2순위 : 계약 관리, 투자 관리, 인력 관리, 이슈 및 위험 관리

3순위 : 기타 ....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