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이야기는 프로세스의 이야기이다.
가장 많이 다룬 이야기도 프로세스이고, 아마 가장 잘 이해하고, 도입이나 구축 시에 가장 신경을 써야 할 부분도 프로세스일 것이다.
물론 예측이나 모니터링, 평가나 성과 등의 중요한 요인 역시 있으나, 어찌되었던 간에 프로세스를 통한 책임과 역할의 적극적인 도입이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임은 ... 다시 강조하지 않아도 ....
그럼 시작...
===============================================================================================================================
IT 프로세스 혹은 IT Governance에서 말하고자 하는 프로세스는 일단 모든 일의 책임 주체를 명확히 하고 이에 대한 권한과 의무를 다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조직에서 낭비되고 있는 결재나 보고 라인의 간소화나 효율화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어떠한 프로세스를 어떠한 직책이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하는 지에 대한 검증, 모니터링과 평가를 포함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의 조합 또는 구성을 통하여 업무의 추진이 정의된다면,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대한 대처, 조직의 변화, 인력의 변동에 따른 신속한 대처 방안이 도출될 수 있으며, 누누히 강조하지만 최소한의 업무 추진의 품질과 덧붙여 업무 공백의 최소화라는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프로세스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의미를 이해한다면 ... 프로세스가 업무를 진행하게 만드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고 발전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프로세스에 의거한 업무를 추진하는 것은 결과에 대한 예측을 제공한다.
프로세스가 명시적으로 정의되고, 관리된다면 예측할 수 있는 결과와 통제에 대한 원칙이 수립된다고 할 수 있다.
성숙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는 조직과 그렇지 않은 조직의 비교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표로도 설명이 가능해진다.
그만큼 프로세스의 성숙도는 중요한 IT Governance의 요소이다.
다음의 예시는 프로세스에 대한 일련의 흐름이다.
IT Life Cycle 관점에서의 프로세스의 통합 관점으로 작성한 도표이며, 이를 기준으로 본다면 각각의 프로세스에서 해야 할 일들이 명백히 정해지며, 책임과 역할의 수반이 동시에 파악이 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의 구성을 통하여, 잘못되어 있는 혹은 지켜지지 않는, 품질이 떨어지는 프로세스의 요소를 찾아내고 그곳의 프로세스 변경으로 IT 프로세스의 기반을 성숙시켜 나갈 수 있다.
프로세스를 여러가지 영역에서 비교해서 부면 다음과 같은 영역을 도출 할 수 있다. 물론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런 식의 처리를 할 수 있는 예시로 보면 되겠다.
어찌 되었던, 해야 할 일들에 대한 영역의 보기이다.
ITIL에서 이야기하는 도메인에 대한 간략한 구성이다.
참고하시길 ....
프로세스는 중요하다.
지금까지 많은 이야기 중 프로세스에 대하여 할애한 부분이 많은 이유 역시 역설적으로 중요하다는 뜻이다.
다른 관점의 예시 위주의 그림을 참조하며 오늘의 이야기를 맺는다.
=========================================================================================================================
그림으로 도배 ....
암튼 하나의 이야기 종료......................................................................................................................................................
'IT Gover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Governance 정리 ... (0) | 2009.04.01 |
---|---|
[EA Governance] IT Governance의 새로운 출발 ... (0) | 2009.03.31 |
[IT Governance 프로젝트] IT Governance의 도입 범위 #1 (0) | 2009.03.19 |
[IT Governance 프로젝트] IT Governance 책임과 역할의 명시적 수행 (0) | 2009.03.10 |
[IT Governance 프로젝트] IT Governance 프로세스의 적용 #3 (0) | 2009.03.09 |